남계서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서원소개

함양 남계서원

咸陽 蘫溪書院

남계서원

함양 남계서원은 1552년(명종 7년) 개암(介庵) 강익(姜翼)에 의해 ‘남을 내 몸같이 사랑하는 도심(道心) 회복(유학 교육)’과 ‘일두(一蠹) 정여창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창건되었다. 1566년(명종 21년)에 ‘남계(蘫溪)’라는 이름으로 사액되었다. 정유재란(1597년)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선조 36년)에 나촌으로 옮겼다가, 1612년(광해군 4년) 옛 터인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남계서원은 경사의 지형 조건을 활용하여 앞쪽은 강학공간, 뒤쪽은 제향공간이라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서원의 독창적 건축 배치형식의 기준을 마련하였고, 이후 건립되는 서원들의 전형이 되었다. 함양 남계서원은 1868년(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남아있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며 경남 유일의 존속서원이다.
함양 남계서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2019년 등재되었다.

남계서원 연혁

남계서원이 걸어온 발자취

년도 내용
1552년 (명종 7년) 도심회복과 일두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개암 강익(姜翼)의 주도하에 박승임(朴承任), 정복현(鄭復顯), 임희무(林希茂), 노관(盧祼)과 함께 창립 협의
1559년 (명종 14년) 군수 윤확(尹確)과 함양, 거창, 안음의 지방관 및 사림의 기부로 강당 건립 완성
1561년 (명종 16년) 묘우 건립 완성 / 정여창의 위패 봉안(2월 16일)
1566년 (명종 21년) 관찰사 강사상(姜士尙)을 통해 중앙에 사액 요청(6월) / 서원 앞에 흐르는 시내의 이름을 따서 “남계(灆溪)”라 사액(7월)
1597년 (선조 30년) 정유재란으로 남계서원 소실, 정경운(鄭慶雲) 등이 위패 매안(埋安)
1605년 (선조 38년) 나촌(羅村)으로 남계서원 이건(移建), 위패 모심
1612년 (광해군 4년) 남계서원을 현 위치로 이건(移建)
1634년 (인조 12년) 남계서원에 별묘를 건립, 강익의 위패를 별묘에 이안
1642년 (인조 20년) 유호인, 정온을 별묘에 배향
1677년 (숙종 3년) 정온을 별묘에서 본사로 숭배
1686년 (숙종 12년) 남계서원에서 강익의 문집 『개암집(介庵集)』 개간(開刊)
1689년 (숙종 15년) 강익을 별묘에서 본사로 숭배
1868년 (고종 5년) 서원철폐령, 남계서원은 존립, 별묘 훼철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
2009년 5월 26일 사적 제499호로 승격 지정됨(지정면적 4,810㎡)
2019년 7월 10일 •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남계서원(경남 함양), 소수서원(경북 영주), 도산서원(경북 안동), 옥산서원(경북 경주), 도동서원(대구 달성), 필암서원(전남 장성), 무성서원(전북 정읍), 돈암서원(충남 논산)
함양군 문화체육관광부
  • 함양 남계서원
  • 50021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길 8-11
  • TEL : 055-962-1438 E-mail : yeoss47@hanmail.net
  • 아름답고 소중한 남계서원 세계의 문화유산입니다
Copyright © 2023 by 함양 남계서원.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