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고종시 곶감은 산림청 지리적표시 제39호로 등록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지리적표시제는 상품의 품질, 명성 그 밖의 특징이 본질적으로 지리적 근원에서부터 비롯되는 경우 그 지역에서 생산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입니다.
품종 | 과형 | 과중(g) | 당도 | 특성 |
---|---|---|---|---|
고종시 | 단원추형 | 180 | 20 | 지리적표시 제39호, 당도가 높고 품질 우수, 씨 없음 |
대시 | 편원형 | 303 | 19.6 | 씨 없음, 대과, 당도가 높고 품질 우수 |
단성시 | 단원추형 | 184 | 18 | 씨 없음, 육질은 유연점질이고 단맛 많음, 품질 극상 |
대봉 | 원추형 | 210~300 | 18~20 | 대과, 육질은 치밀, 종자부근 갈변 |
반시 | 펀평형 | 200 | 20 | 씨 없음, 고품질, 육질은 유연하고 치밀함 |
종묘제사 때 바치던 계절 음식이었던 곶감은 완숙하기 전에 채취한 떫은 감으로 만듭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미식가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요리 평론가였던 허균이 팔도의 명물 토산품과 별미음식을 소개한 <도문대작>에도 ‘지리산의 오시(烏枾)가 곶감 만드는 데 좋다’고 기록되어 있어 함양곶감이 예로부터 명성이 자자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곶감은 비타민 A, B, C가 풍부하고 펙틴(pectin)과 카로티노이드(carotenoid)가 함유되어 있어 성인병 예방에 좋으며, 감꼭지도 딸국질, 야뇨증, 구토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